aboutsummaryrefslogtreecommitdiff
path: root/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
diff options
context:
space:
mode:
Diffstat (limited to '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
-rw-r--r--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56
1 files changed, 0 insertions, 56 deletions
diff --git a/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 b/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
deleted file mode 100644
index a446858ece..0000000000
--- a/files/ko/archive/rss/getting_started/index.html
+++ /dev/null
@@ -1,56 +0,0 @@
----
-title: Getting Started
-slug: Archive/RSS/Getting_Started
-tags:
- - MDC Project
- - NeedsEditorialReview
- - RSS
- - 'RSS:Getting_Started'
-translation_of: Archive/RSS/Getting_Started
----
-<h3 id=".EA.B0.9C.EC.9A.94" name=".EA.B0.9C.EC.9A.94">개요</h3>
-<p>이 입문서는 <b>Really Simple Syndication</b> (<b>RSS</b>)에 대한 것입니다.</p>
-<p>여기서는 단계별로 RSS의 기본을 따라가면서 실제로 동작하는 예를 보여줄 것입니다. 그리고
- <i>
- 무언가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해보는 것이다</i>
- 라는 경구를 따라, 당신 스스로 RSS 파일을 직접 만들게 될 것입니다.</p>
-<p> </p>
-<h4 id=".EB.88.84.EA.B0.80_.EC.9D.BD.EC.96.B4.EC.95.BC_.ED.95.98.EB.8A.94.EA.B0.80.3F" name=".EB.88.84.EA.B0.80_.EC.9D.BD.EC.96.B4.EC.95.BC_.ED.95.98.EB.8A.94.EA.B0.80.3F">누가 읽어야 하는가?</h4>
-<p>이 입문서는 주로 RSS 초보자, 즉 거의 혹은 전혀 RSS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RSS에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도 모르고 있던 정보를 알게 되거나 알고 있던 것을 새롭게 환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p>
-<p>이 입문서는 독자가 <a href="ko/HTML">HTML</a> (혹은 <a href="ko/XML">XML</a>)에 어느 정도 경험이 있으며, 기본적인
- <i>
- 마크업</i>
- 을 다룰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시 말해, 이런 코드를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p>
-<pre class="eval"> 이 마크업은 &lt;b&gt;굵은 글자를&lt;/b&gt; 표시합니다.
-</pre>
-<p>이 정도라면 RSS를 배우는데 지장이 없습니다.</p>
-<div class="note">
- <p><b>NOTE</b>: 웹 개발자나 웹 개발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이 입문서가 해당되지 않습니다. 입문서를 잘 사용하려면
- <i>
- 마크업</i>
- 을 쓸 주 있어야 합니다.</p>
-</div>
-<h4 id=".EC.8B.9C.EC.9E.91.ED.95.98.EA.B8.B0_.EC.A0.84.EC.97.90_.ED.95.84.EC.9A.94.ED.95.9C_.EA.B2.83" name=".EC.8B.9C.EC.9E.91.ED.95.98.EA.B8.B0_.EC.A0.84.EC.97.90_.ED.95.84.EC.9A.94.ED.95.9C_.EA.B2.83">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것</h4>
-<p>이 입문서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편집기와 RSS 리더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편집기와 RSS 리더의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p>
-<div class="note">
- <p><b>NOTE</b>: 워드 프로세서는 텍스트 편집기가 아닙니다.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 RSS 파일을 저장할 때 반드시 단순한 text 형식으로 저장해야 합니다.</p>
-</div>
-<p>이 입문서의 RSS 파일들을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읽기만 해도 되지만, 그것은 배우는 데 있어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RSS 파일을 스스로 만들 때 더 많은 것을 잘 배우게 될 것입니다.</p>
-<h4 id=".EC.9D.B4_.EC.9E.85.EB.AC.B8.EC.84.9C.EC.9D.98_.EC.82.AC.EC.9A.A9.EB.B2.95" name=".EC.9D.B4_.EC.9E.85.EB.AC.B8.EC.84.9C.EC.9D.98_.EC.82.AC.EC.9A.A9.EB.B2.95">이 입문서의 사용법</h4>
-<p>입문서의 각 장은 그것만으로도
- <i>
- 독자적인</i>
- 입문선가 될 수 있도록 쓰여졌지만, 각 장은 이전 장의 내용을 독자가 모두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장부터 시작해도 되지만, RSS 초보자는 순서대로 읽기를 권합니다.</p>
-<h3 id="Tutorial" name="Tutorial">Tutorial</h3>
-<ol>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What_is_RSS">What is RSS</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Why_use_RSS">Why use RSS</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How_RSS_Works">How RSS Works</a></b></li>
- <li><b>Hello World</b> (article not yet written) <span class="comment">link removed because too many people put their hello world there</span></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Syndicating">Syndicating</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Blogs">Blogs</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Broadcatching">Broadcatching</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Microformats">Microformats</a></b></li>
- <li><b><a href="ko/RSS/Getting_Started/Advanced_Broadcatching">Advanced Broadcatching</a></b></li>
-</ol>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