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2f530bed8ebb6853b8c033979ef956575100bdf4 Mon Sep 17 00:00:00 2001 From: Peter Bengtsson Date: Tue, 27 Jul 2021 13:17:06 -0400 Subject: remove link 'title' attributes that's just the 'href' (ko, part 3) (#1742) --- files/ko/web/api/server-sent_events/index.html | 2 +- .../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index.html | 4 ++-- .../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index.html | 2 +- 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index.html | 2 +- files/ko/web/api/websockets_api/index.html | 4 ++-- 5 files changed, 7 insertions(+), 7 deletions(-) (limited to 'files/ko/web/api') diff --git a/files/ko/web/api/server-sent_events/index.html b/files/ko/web/api/server-sent_events/index.html index d5415dd09c..f3d7629c99 100644 --- a/files/ko/web/api/server-sent_events/index.html +++ b/files/ko/web/api/server-sent_events/index.html @@ -71,7 +71,7 @@ translation_of: Web/API/Server-sent_events

그 외 자료

diff --git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index.html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index.html index 2a278d5248..efe54e4a6f 100644 ---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index.html +++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index.html @@ -8,7 +8,7 @@ translation_of: 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 ---

{{WebGLSidebar("Tutorial")}} {{PreviousNext("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 "Web/API/WebGL_API/Tutorial/Using_shaders_to_apply_color_in_WebGL")}}

-

일단 성공적으로 WebGL컨텍스트를 생성하면 그 안에 렌더링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히 해볼 수 있는 것은 텍스쳐가 없는 2D 객체를 렌더링 하는 것입니다. 한번 사각형을 그리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해봅시다.

+

일단 성공적으로 WebGL컨텍스트를 생성하면 그 안에 렌더링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히 해볼 수 있는 것은 텍스쳐가 없는 2D 객체를 렌더링 하는 것입니다. 한번 사각형을 그리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해봅시다.

장면(scene)에 조명효과 추가하기

@@ -195,7 +195,7 @@ function initBuffers() {

그런 다음 identity(항등) position을 불러오고 카메라에서 6단위 만큼 translate(변환)하여 사각형의 위치를 정합니다 . 그 다음 사각형 정점 버퍼를 컨텍스트에 연결해 구성한 뒤 drawArrays() 메서드를 불러와 객체를 그립니다. 

-

브라우저가 웹GL을 지원한다면 다음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ry out this demo by clicking here

+

브라우저가 웹GL을 지원한다면 다음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ry out this demo by clicking here

행렬 유틸리티를 이용한 연산

diff --git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index.html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index.html index 0805f59ae0..9e36c29510 100644 ---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index.html +++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index.html @@ -8,7 +8,7 @@ translation_of: Web/API/WebGL_API/Tutorial/Getting_started_with_WebGL ---

{{WebGLSidebar("Tutorial")}} {{Next("Web/API/WebGL_API/Tutorial/Adding_2D_content_to_a_WebGL_context")}}

-

WebGL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OpenGL ES 2.0 기반 API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의 HTML canvas에 렌더링하여 3D 웹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WebGL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나 특수 효과(셰이더 코드)코드로 구성됩니다. WebGL 요소들은 다른 HTML 요소들과 혼합될 수 있고 페이지나 페이지 배경의 다른 부분과 합성될 수 있습니다.

+

WebGL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OpenGL ES 2.0 기반 API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의 HTML canvas에 렌더링하여 3D 웹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WebGL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나 특수 효과(셰이더 코드)코드로 구성됩니다. WebGL 요소들은 다른 HTML 요소들과 혼합될 수 있고 페이지나 페이지 배경의 다른 부분과 합성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기본 WebGL 기본 사항을 소개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3D 그래픽에 관련된 수학적 이해를 이미 이해하고 있다고 간주하고 OpenGL 자체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입니다.

diff --git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index.html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index.html index 667333acb9..16e451b462 100644 --- a/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index.html +++ b/files/ko/web/api/webgl_api/tutorial/index.html @@ -9,7 +9,7 @@ translation_of: Web/API/WebGL_API/Tutorial
{{WebGLSidebar}}
-

WebGL 은 WebGL을 지원하는 브라우져에서 plugin을 사용하지 않고도, 웹 콘텐츠가 OpenGL ES 2.0 기반의 API를 이용하여 HTML {{HTMLElement("canvas")}}에서 3D 랜더링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WebGL 프로그램은 JavaScripts로 작성 된 제어 코드와 컴퓨터의 Graphics Processing Unit (GPU)에서 실행되는 특수한 효과를 내는 코드(Shader code)로 구성 됩니다. WebGL 요소들은 다른 HTML요소들과 섞어서 함께 사용 할 수 있으며 페이지의 다른 부분이나 페이지 배경과 함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WebGL 은 WebGL을 지원하는 브라우져에서 plugin을 사용하지 않고도, 웹 콘텐츠가 OpenGL ES 2.0 기반의 API를 이용하여 HTML {{HTMLElement("canvas")}}에서 3D 랜더링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WebGL 프로그램은 JavaScripts로 작성 된 제어 코드와 컴퓨터의 Graphics Processing Unit (GPU)에서 실행되는 특수한 효과를 내는 코드(Shader code)로 구성 됩니다. WebGL 요소들은 다른 HTML요소들과 섞어서 함께 사용 할 수 있으며 페이지의 다른 부분이나 페이지 배경과 함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 튜토리얼은 WebGL 그래픽을 그리기 위해 <canvas>요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해 기본부터 기술합니다. 제공된 예제들은 여러분이 WebGL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하고, 여러분 소유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작은 코드들을 제공 할 것입니다.

diff --git a/files/ko/web/api/websockets_api/index.html b/files/ko/web/api/websockets_api/index.html index 18f7912806..69b883d2b1 100644 --- a/files/ko/web/api/websockets_api/index.html +++ b/files/ko/web/api/websockets_api/index.html @@ -23,8 +23,8 @@ original_slug: WebSockets

도구

-- cgit v1.2.3-54-g00e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