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bc229b7a1817de712a408242cc9d8ac469733c4d Mon Sep 17 00:00:00 2001 From: Peter Bengtsson Date: Tue, 27 Jul 2021 11:39:11 -0400 Subject: remove link 'title' attributes that's just the 'href' (ko) (#1739) --- files/ko/web/css/@font-face/index.html | 2 +- files/ko/web/css/background-size/index.html | 2 +- files/ko/web/css/box-shadow/index.html | 4 ++-- files/ko/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index.html | 4 ++-- files/ko/web/css/font-feature-settings/index.html | 2 +- files/ko/web/css/frequency/index.html | 2 +- files/ko/web/css/integer/index.html | 2 +- files/ko/web/css/url()/index.html | 2 +- 8 files changed, 10 insertions(+), 10 deletions(-) (limited to 'files/ko/web/css') diff --git a/files/ko/web/css/@font-face/index.html b/files/ko/web/css/@font-face/index.html index 03ac3815bb..b4f6d054ff 100644 --- a/files/ko/web/css/@font-face/index.html +++ b/files/ko/web/css/@font-face/index.html @@ -129,7 +129,7 @@ browser-compat: css.at-rules.font-face
  • About WOFF
  • FontSquirrel @font-face generator
  • Beautiful fonts with @font-face
  • -
  • Open Font Library
  • +
  • Open Font Library
  • Microsoft Developer Network (MSDN) @font-face reference
  • When can I use WOFF?
  • When can I use SVG Fonts?
  • diff --git a/files/ko/web/css/background-size/index.html b/files/ko/web/css/background-size/index.html index 6cbea33bbf..05c4459453 100644 --- a/files/ko/web/css/background-size/index.html +++ b/files/ko/web/css/background-size/index.html @@ -138,7 +138,7 @@ background-size: unset;

    참고

    -

    If you use a <gradient> as the background and specify a background-size to go with it, it's best not to specify a size that uses a single auto component, or is specified using only a width value (for example, background-size: 50%). Rendering of <gradient>s in such cases changed in Firefox 8, and at present is generally inconsistent across browsers, which do not all implement rendering in full accordance with the CSS3 background-size specification and with the CSS3 Image Values gradient specification.

    +

    If you use a <gradient> as the background and specify a background-size to go with it, it's best not to specify a size that uses a single auto component, or is specified using only a width value (for example, background-size: 50%). Rendering of <gradient>s in such cases changed in Firefox 8, and at present is generally inconsistent across browsers, which do not all implement rendering in full accordance with the CSS3 background-size specification and with the CSS3 Image Values gradient specification.

    .gradient-example {
       width: 50px;
    diff --git a/files/ko/web/css/box-shadow/index.html b/files/ko/web/css/box-shadow/index.html
    index 3dfdabd3e7..822e4d1e17 100644
    --- a/files/ko/web/css/box-shadow/index.html
    +++ b/files/ko/web/css/box-shadow/index.html
    @@ -87,8 +87,8 @@ box-shadow: unset;
     

    예제

    명세

    diff --git a/files/ko/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index.html b/files/ko/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index.html index 15368d34c5..e9d4d1dada 100644 --- a/files/ko/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index.html +++ b/files/ko/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index.html @@ -335,7 +335,7 @@ var intervalID = window.setInterval(updateTransition, 7000);
    {{ cssxref("transition-timing-function") }}
    -
    속성의 중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함수를 명시합니다. Timing functions는 트랜지션의 중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대부분의 타이밍 함수는 큐빅 베이지어(cubic bezier)를 정의하는 네 점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응하는 함수의 그래프로 제공해서 명시할 수 있습니다. Easing Functions Cheat Sheet에서 이징(easing, 역자주: 시간에 따른 파라미터 값의 변화율을 명시하는 함수)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속성의 중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함수를 명시합니다. Timing functions는 트랜지션의 중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대부분의 타이밍 함수는 큐빅 베이지어(cubic bezier)를 정의하는 네 점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응하는 함수의 그래프로 제공해서 명시할 수 있습니다. Easing Functions Cheat Sheet에서 이징(easing, 역자주: 시간에 따른 파라미터 값의 변화율을 명시하는 함수)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transition-timing-function: ease

    @@ -1027,7 +1027,7 @@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ev){ }
    -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jsfiddle.net/RwtHn/5/

    +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jsfiddle.net/RwtHn/5/

    명세

    diff --git a/files/ko/web/css/font-feature-settings/index.html b/files/ko/web/css/font-feature-settings/index.html index d77e820838..3376cce496 100644 --- a/files/ko/web/css/font-feature-settings/index.html +++ b/files/ko/web/css/font-feature-settings/index.html @@ -38,7 +38,7 @@ font-feature-settings: unset;
    기본값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표시합니다.
    <feature-tag-value>
    텍스트를 렌더링할 때, 오픈타입 피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피처 태그 목록을 렌더링 엔진에 전달합니다. 피처 태그는 4개의 ASCII 문자로 이루어진 {{cssxref("<string>")}}이어야 합니다. 만약 태그가 네 글자보다 짧거나, 유니코드 U+20U+7E 범위 바깥에 있는 문자를 포함한다면 속성 전체가 무효처리됩니다.
    - 값은 양의 정수 값을 가집니다. 각각 10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 on 과 off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런 값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기본값은 1입니다. stylistic alternates와 같이 Boolean 타입이 아닌 오픈타입 피처의 경우, 값은 선택되어야 하는 글리프(글자)를 의미합니다. Boolean 타입인 경우에는 스위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값은 양의 정수 값을 가집니다. 각각 10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 on 과 off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런 값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기본값은 1입니다. stylistic alternates와 같이 Boolean 타입이 아닌 오픈타입 피처의 경우, 값은 선택되어야 하는 글리프(글자)를 의미합니다. Boolean 타입인 경우에는 스위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iff --git a/files/ko/web/css/frequency/index.html b/files/ko/web/css/frequency/index.html index 6b3d88b859..9202adb0e8 100644 --- a/files/ko/web/css/frequency/index.html +++ b/files/ko/web/css/frequency/index.html @@ -65,7 +65,7 @@ translation_of: Web/CSS/frequency
    -

    참고: <frequency>CSS Level 2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청각적 미디어 특성에서 음성의 높낮이를 설정할 때 사용했습니다. 이후 CSS3에서 다시 추가됐지만, 지금으로써는 어떤 CSS 속성에서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

    참고: <frequency>CSS Level 2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청각적 미디어 특성에서 음성의 높낮이를 설정할 때 사용했습니다. 이후 CSS3에서 다시 추가됐지만, 지금으로써는 어떤 CSS 속성에서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브라우저 호환성

    diff --git a/files/ko/web/css/integer/index.html b/files/ko/web/css/integer/index.html index a6de2d4b1c..6dad75dab1 100644 --- a/files/ko/web/css/integer/index.html +++ b/files/ko/web/css/integer/index.html @@ -20,7 +20,7 @@ translation_of: Web/CSS/integer

    보간

    -

    애니메이션에서 <integer> 자료형의 값은 이산적으로 1씩 변화합니다. 계산은 유동소수점 실수를 사용하며 최종 결과인 이산값은 버림 함수를 사용해 얻습니다. 보간의 속도는 애니메이션과 연결된 타이밍 함수가 결정합니다.

    +

    애니메이션에서 <integer> 자료형의 값은 이산적으로 1씩 변화합니다. 계산은 유동소수점 실수를 사용하며 최종 결과인 이산값은 버림 함수를 사용해 얻습니다. 보간의 속도는 애니메이션과 연결된 타이밍 함수가 결정합니다.

    예제

    diff --git a/files/ko/web/css/url()/index.html b/files/ko/web/css/url()/index.html index ae4c05af7f..862c7338b1 100644 --- a/files/ko/web/css/url()/index.html +++ b/files/ko/web/css/url()/index.html @@ -15,7 +15,7 @@ original_slug: Web/CSS/url

    <url> CSS 자료형은 이미지나 글꼴 등 리소스를 가리키는 문자열을 나타냅니다. URL은 {{ Cssxref("background-image") }}, {{ Cssxref("cursor") }}, {{ cssxref("list-style") }} 등 다양한 속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RI와 URL URI와 URL은 다릅니다. URI는 단순히 리소스의 식별자입니다. URL은 URI의 종류 중 하나로, 리소스의 위치를 표현합니다. URI는 URL일 수도 있고, 리소스의 이름(URN)일 수도 있습니다.

    +

    URI와 URL URI와 URL은 다릅니다. URI는 단순히 리소스의 식별자입니다. URL은 URI의 종류 중 하나로, 리소스의 위치를 표현합니다. URI는 URL일 수도 있고, 리소스의 이름(URN)일 수도 있습니다.

    CSS Level 1의 url() 함수형 표기법은 순수 URL을 나타낼 때만 사용했고, CSS Level 2에서 범위가 늘어나 URL이나 URN 등 어떤 URI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이로써 url()을 사용해 <uri> CSS 자료형을 표현할 수 있었는데, 이상한 방식인데다 실제 CSS에서 URN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불필요하다고 생각할만한 점이었습니다. CSS3에서는 혼란을 잠재우기 위해 초기의 더 좁은 정의로 돌아갔기 때문에 이제 url()<url>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cgit v1.2.3-54-g00e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