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크로스-도메인 텍스쳐 slug: Web/API/WebGL_API/Cross-Domain_Textures tags: - WebGL - 웹지엘 - 크로스 도메인 - 텍스쳐 translation_of: Web/API/WebGL_API/Tutorial/Using_textures_in_WebGL#Cross-domain_textures translation_of_original: Web/API/WebGL_API/Cross-Domain_Textures ---

WebGL 텍스쳐 로딩은 크로스-도메인 접근 규칙에 따라 제약을 받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컨텐츠에서 다른 도메인의 텍스쳐, 즉, 크로스-도메인 텍스쳐를 로딩하려면 CORS 승인이 필요합니다. COR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 access control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ORS 승인된 이미지를 WebGL 텍스쳐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hacks.mozilla.org 문서예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역자 주 : 예제 링크가 깨져있는데, 원문에도 깨진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Note: WebGL 텍스쳐에 대한 CORS 지원과 이미지 요소의 crossOrigin 속성이 {{Gecko("8.0")}}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내용이 변경되어 오염된(tainted) 쓰기 전용의 2D 캔버스는 WebGL 텍스쳐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크로스-도메인 이미지가 그려진 2D {{ HTMLElement("canvas") }}는 오염된 2D 캔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Note: 캔버스 2D의 drawImage에 대한 CORS 지원은 {{Gecko("9.0")}}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Gecko("9.0")}}에서부터는, CORS 승인된 크로스-도메인 이미지는 2D 캔버스를 오염시키지 않으며, CORS 승인된 크로스-도메인 이미지가 그려진 2D 캔버스도 WebGL 텍스쳐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te: 크로스-도메인 비디오에 대한 CORS 지원과 {{ HTMLElement("video") }}요소의 crossorigin 속성은 {{Gecko("12.0")}}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 languages( { "ja": "ja/WebGL/Cross-Domain_Textures", "ko": "ko/Web/WebGL/Cross-Domain_Textur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