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let slug: 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 translation_of: 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 ---
let
구문은 블록 유효 범위를 갖는 지역 변수를 선언하며, 선언과 동시에 임의의 값으로 초기화할 수도 있다.
let var1 [= value1] [, var2 [= value2]] [, ..., varN [= valueN]];
var1
, var2
, …, varN
value1
, value2
, …, valueN
let
은 변수가 선언된 블록, 구문 또는 표현식 내에서만 유효한 변수를 선언한다. 이는 var
키워드가 블록 범위를 무시하고 전역 변수나 함수 지역 변수로 선언되는 것과 다른 점이다.
"let"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링크를 참조하시오.
let
으로 선언된 변수는 변수가 선언된 블록 내에서만 유효하며, 당연하지만 하위 블록에서도 유효하다. 이러한 점에서는 let
과 var
는 유사하지만, var
는 함수 블록 이외의 블록은 무시하고 선언된다는 점이 다르다.
function varTest() { var x = 1; if (true) { var x = 2; // 상위 블록과 같은 변수! console.log(x); // 2 } console.log(x); // 2 } function letTest() { let x = 1; if (true) { let x = 2; // 상위 블록과 다른 변수 console.log(x); // 2 } console.log(x); // 1 }
프로그램이나 함수의 최상위에서는 let
과 var
은 서로 다르게 행동한다. let
은 전역 객체의 속성 값을 생성하지 않는다.
var x = 'global'; let y = 'global'; console.log(this.x); // "global" 전역 객체의 속성 x를 생성 console.log(this.y); // undefined 전역 객체의 속성 y를 생성하지 않음
생성자와 함께 사용하여 클로저를 사용하지 않고 비공개 변수를 만들고 접근할 수 있다.
var Thing; { let privateScope = new WeakMap(); let counter = 0; Thing = function() { this.someProperty = 'foo'; privateScope.set(this, { hidden: ++counter, }); }; Thing.prototype.showPublic = function() { return this.someProperty; }; Thing.prototype.showPrivate = function() { return privateScope.get(this).hidden; }; } console.log(typeof privateScope); // "undefined" var thing = new Thing(); console.log(thing); // Thing {someProperty: "foo"} thing.showPublic(); // "foo" thing.showPrivate(); // 1
같은 변수를 같은 함수나 블록 범위 내에서 재선언하면 {{jsxref("SyntaxError")}}가 발생한다.
if (x) { let foo; let foo; // SyntaxError thrown. }
ECMAScript 2015에서는let
은 선언 끌어올리기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이는 let
선언이 현재 실행되는 구간의 최상위로 옮겨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변수가 초기화(선언)되기 전에 참조할 경우 ReferenceError
가 발생합니다.(var
로 선언된 변수는 undefined 값을 가지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임시적인 사각 지역"은 블록 시작 부분부터 변수 선언이 실행되기 전까지 입니다.
(let
들의 정의가 평가되기까지 초기화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호이스팅이 되지않아 정의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와는 다르다고 생각함_헷갈리면 안된다.)
function do_something() { console.log(bar); // undefined console.log(foo); // ReferenceError var bar = 1; let foo = 2; }
switch
구문을 사용할 때는 실제 블록이 하나 뿐이므로 중복 선언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let x = 1; switch(x) { case 0: let foo; break; case 1: let foo; // 재선언에 의한 SyntaxError. break; }
하지만 case 조건을 새로운 블록으로 감싸면 위의 코드와는 다르게 재선언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let x = 1; switch(x) { case 0: { let foo; break; } case 1: { let foo; break; } }
typeof
선언되지 않은 변수와 undefined
값을 지닌 변수와는 다르게, 임시적인 사각 지역에 있는 변수에 변수형 확인을 위해 typeof
을 사용하면 ReferenceError
가 발생합니다:
// 'undefined' 출력 console.log(typeof undeclaredVariable); // 'ReferenceError' 발생 console.log(typeof i); let i = 10;
정적 유효 범위로 인해, 표현 (foo + 55)
내부의 "foo"는 33을 값으로 가지는 상위 블록의 foo가 아니라 if 블록의 foo로 해석됩니다. 해당 행에서 if 블록의 "foo"는 이미 정적 유효 범위에 생성되었지만, 선언의 초기화가 완료(선언 구문의 종료)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여전히 임시적인 사각 지역에 해당됩니다.
function test(){ var foo = 33; if (true) { let foo = (foo + 55); // ReferenceError } } test();
이 현상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혼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시 구문 let n of n.a
은 이미 for loop 블록에 속해 있으며, 구문자 "n.a"는 속성 'a'를 지시 구문 자기자신의 앞부분에 위치한 객체 'n'에서 참조하려 합니다. 해당 객체 'n'은 위와 마찬가지로 선언이 종료되지 않았기에 임시적인 사각 지역에 해당합니다.
function go(n) { // 정의되어 있는 n! console.log(n); // Object {a: [1,2,3]} for (let n of n.a) { // ReferenceError console.log(n); } } go({a: [1, 2, 3]});
블록을 사용할 때, let
은 변수의 유효 범위를 블록으로 제한합니다. 함수 내 또는 전역을 유효 범위로 가지는 var
와의 차이점을 숙지하세요.
var a = 1; var b = 2; if (a === 1) { var a = 11; // 전역 변수 let b = 22; // if 블록 변수 console.log(a); // 11 console.log(b); // 22 } console.log(a); // 11 console.log(b); // 2
Specification | Status | Comment |
---|---|---|
{{SpecName('ES2015', '#sec-let-and-const-declarations', 'Let and Const Declarations')}} | {{Spec2('ES2015')}} | Initial definition. Does not specify let expressions or let blocks. |
{{SpecName('ESDraft', '#sec-let-and-const-declarations', 'Let and Const Declarations')}} | {{Spec2('ESDraft')}} |
{{Compat("javascript.statements.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