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options
Diffstat (limited to '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
3 files changed, 5 insertions, 5 deletions
diff --git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bad_octal/index.html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bad_octal/index.html index 8a4590e668..9336c7efc2 100644 ---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bad_octal/index.html +++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bad_octal/index.html @@ -17,7 +17,7 @@ Warning: SyntaxError: 09 is not a legal ECMA-262 octal constant. <h2 id="무엇이_잘못되었을까">무엇이 잘못되었을까?</h2> -<p>10진법의 리터럴은 <code>0</code>을 가장 앞 자리에 표시하고 뒤따라 다른 10진 숫자가 오게 할 수 있지만, <code>0</code>으로 시작하여 그 뒤를 따르는 모든 숫자들이 8보다 작다면, 그 수는 8진수로 해석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code>08<font face="Open Sans, Arial, sans-serif">과</font> 09<font face="Open Sans, Arial, sans-serif">는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font><font face="Open Sans, Arial, sans-serif"> </font></code>JavaScript는 경고를 띄웁니다. </p> +<p>10진법의 리터럴은 <code>0</code>을 가장 앞 자리에 표시하고 뒤따라 다른 10진 숫자가 오게 할 수 있지만, <code>0</code>으로 시작하여 그 뒤를 따르는 모든 숫자들이 8보다 작다면, 그 수는 8진수로 해석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code>08</code>과 <code>09</code>는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JavaScript는 경고를 띄웁니다. </p> <p>8진 리터럴과 8진 escape sequence는 사라지고 추가적인 경고가 나타날 것임을 알아 두세요. ECMAScript 6와 그 이후 버전의 구문은, 맨 앞자리에 위치하는 <code>0</code>의 뒤에 소문자 또는 대문자의 라틴 문자 "O" 를 위치시키도록 합니다 (<code>0o</code> or <code>0O)</code>. 더 자세한 설명은 <a href="/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Lexical_grammar#Octal">lexical grammar</a> 페이지를 보세요.</p> diff --git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invalid_array_length/index.html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invalid_array_length/index.html index 6ddeb58f06..00bf7059c4 100644 ---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invalid_array_length/index.html +++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invalid_array_length/index.html @@ -21,11 +21,11 @@ RangeError: Invalid array buffer length (Chrome) <p>다음과 같은 원인 때문이다:</p> <ul> - <li>2<sup>32</sup>와 같거나 이보다 긴, 혹은 음수의 길이를 가진 {{jsxref("Array")}}나 {{jsxref("ArrayBuffer")}}를 생성했기 때문에, 혹은</li> - <li>{{jsxref("Array")}} 속성을 2<sup>32</sup>와 같거나 이보다 긴 값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li> + <li>2^32와 같거나 이보다 긴, 혹은 음수의 길이를 가진 {{jsxref("Array")}}나 {{jsxref("ArrayBuffer")}}를 생성했기 때문에, 혹은</li> + <li>{{jsxref("Array")}} 속성을 2^32와 같거나 이보다 긴 값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li> </ul> -<p><code>Array와 ArrayBuffer의 길이에 제한을 둔 이유는, Array나 ArrayBuffer의 length 속성은 사인되지 않은(unsigned) 32 비트 정수로 반영되기 때문이다.</code> 즉 <code>Array나 ArrayBuffer는 오직 0 ~ </code>2<sup>32</sup>-1 사이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p> +<p><code>Array와 ArrayBuffer의 길이에 제한을 둔 이유는, Array나 ArrayBuffer의 length 속성은 사인되지 않은(unsigned) 32 비트 정수로 반영되기 때문이다.</code> 즉 <code>Array나 ArrayBuffer는 오직 0 ~ </code>2^32-1 사이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p> <p>Array의 length로 해석되는 첫번째 argument로서 문자열 표기를 통해 contructor를 사용하여 Array를 생성할 수 있다.</p> diff --git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resulting_string_too_large/index.html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resulting_string_too_large/index.html index 20e28cbe2b..119445c14b 100644 --- a/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resulting_string_too_large/index.html +++ b/files/ko/web/javascript/reference/errors/resulting_string_too_large/index.html @@ -21,7 +21,7 @@ RangeError: Invalid count value (Chrome) <p> {{jsxref("String.prototype.repeat()")}} 메소드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메소드는 문자열을 반복하는 수를 예측하는 카운트 파라메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파라메터는 0보다 커야하며, 양의 {{jsxref("Infinity")}} 보다 작아야 했으며, 음수는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이 값의 허용 범위는 이렇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 [0, +∞). </p> -<p>결과인 문자열은 최대 문자열 크기보다 클 수 없지만, JavaScript 에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Firefox (SpiderMonkey) 에서의 최대 문자열 크기는 2<sup>28</sup> -1 (<code>0xFFFFFFF</code>)입니다.</p> +<p>결과인 문자열은 최대 문자열 크기보다 클 수 없지만, JavaScript 에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Firefox (SpiderMonkey) 에서의 최대 문자열 크기는 2^28 -1 (<code>0xFFFFFFF</code>)입니다.</p> <h2 id="예">예</h2> |